DGIST

Innovative University Changing the World through Convergence

Spotlight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한
DGIST-SK실트론 MOU 체결

DGIST는 SK실트론의 ‘단결정(單結晶) 성장 기술’ 연구개발에 병렬 계산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MOU를 23일(목) 체결했다. 반도체 제작에 필수적인 소재인 웨이퍼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첨단 슈퍼컴퓨팅 기술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향후 일본 수출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소재연구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view more더보기

DGIST research

DGIST, 양자점 효율 높인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 개발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는 양자점(Quantum Dot)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DGIST는 에너지공학전공 최종민 교수와 토론토대학교 Edward H. Sargent 교수 연구팀이 양자점 태양전지의 성능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소재 가공법을 개발해, 실제 구동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양자점 태양전지를 구현했다고 30일(월) 밝혔다.

DGIST 에너지공학전공 최종민 교수 사진

DGIST, 노인성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 물질 효과 규명

한국의 2016년 평균 기대수명은 82.4세이나 병 없는 건강수명은 64.9세에 불과해 17.5년의 긴 시간을 질병으로 고통 받거나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기 어렵다. 세계 5대 장수지역 및 백세인의 공통된 특징으로 건강 식단과 규칙적이고 강한 신체 활동의 유지가 중요하다고 알려졌다. 최근연구에서도 건강 장수를 위한 생체 활동성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DGIST 바이오융합연구부/웰에이징연구센터 이윤일 박사, 조성천 박사(현, (주)씨위드) 사진

인류의 식량난 해결에 기여할 식물 기공(氣孔) 발달의 조절 원리 규명

식물의 광합성에 필수 역할을 담당하는 기공(氣孔)의 발달 원리 중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세포 조절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향후 인류의 식량난 해결을 위한 농작물 생산성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곽준명 교수(좌), 제1저자 주 지알리(Zhu Jiali) 박사(가운데),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김윤주 박사(우) 사진

DGIST, 자폐증 등 신경발달장애의 조기 진단 가능성 규명

자폐증과 같은 신경발달장애에 동반되는 감각 과민증의 원인이 밝혀졌다. 향후 신경발달장애 및 암질환과 동반된 감각이상증세의 조기 진단과 항암제 부작용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좌), 제1저자 김재연 박사과정생(우) 사진

반창고처럼 붙여 신체를 실시간 체크하는 센서 개발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권혁준 교수는 성균관대 김선국 교수 연구팀과 함께 24시간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와 특정 움직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피부 부착 패치형 건강 진단 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 센서를 반창고 붙이듯 간단하게 피부에 부착해 건강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DGIST 권혁준 교수 사진

퇴행성 뇌질환, 암 등 각종 질병과 연관된 오토파지 조절분자 발견

퇴행성 뇌질환이나 암, 대사질환 등 각종 질병원인의 단서를 제공하는 핵심 물질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DGIST는 뇌·인지과학전공 유성운 교수팀이 세포사멸 단백질 분해효소인 카스페이즈9(Caspase9)1)이 몸 속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를 하는 오토파지(Autophagy)의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혔다.

뇌·인지과학전공 유성운 교수와 제1저자인 안현규 박사과정학생 사진
이전보기
다음보기

DGIST Interview

쉼표없는 마라톤,
경쟁력있는 인재를
키웁니다.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이제민 교수

DGIST Life

여러 단백질을 한 눈에 본다!

‘다중 단백질 질량 분석 바이오 이미지’ 기술 개발

원하는 치료 부위에

정확히 고정되는 바늘형 마이크로 로봇개발

3차원 이미지로

심장근육 세포를 분석하는 기법 개발

퇴행성 뇌질환, 암 등

각종 질병과 연관된오토파지 조절 분자 발견

비즈니스 세계로 간 인류학자
다문화 시대의 교육
우수기술 설명회

DGIST Interview

쉼표없는 마라톤,
경쟁력있는 인재를
키웁니다.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이제민 교수

DGIST Life

여러 단백질을 한 눈에 본다!

‘다중 단백질 질량 분석 바이오 이미지’ 기술 개발

DGIST Life

원하는 치료 부위에

정확히 고정되는 바늘형 마이크로 로봇개발

DGIST Life

3차원 이미지로

심장근육 세포를 분석하는 기법 개발

DGIST Life

퇴행성 뇌질환, 암 등

각종 질병과 연관된오토파지 조절 분자 발견

비즈니스 세계로 간 인류학자
다문화 시대의 교육
우수기술 설명회